고구마 효능 부작용 및 요리
고구마는 임진왜란 때 일본의 대마도에서 우리나라에 전해진 전쟁을 통하여 전해진 음식입니다.
구황작물로 흔하게 먹을 수 있는 고구마 효능 부작용 및 요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고구마의 원산지는 인디언의 땅인 중앙아메리카로 땅이 척박한 곳에 잘 자라는 구황작물입니다.
일본의 대마도나 가고시마 지방, 우리나라 남부지방 산간지방, 통영 섬지방에서 잘 잘라는 구황작물입니다.
과거 보리고개시절에는 식량 대신으로 고구마를 잡고 이겨서 먹기도 하고 그냥 삶아서 먹기도 하고
소여물 끓인 부엌에 군고구마를 먹었습니다. 겨울에 먹을 고구마를 흙 간에 보관하고 씨 고구마는 잠자는 방 우목에
잘 보관하여 다음 봄에 씨로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가을철에는 고구마를 썰어 말려서 뼈 데기를 만들어서
소주 만드는 원료로 사용하기도 하고 겨울이나 봄에 뼈 데기 죽을 끓여서 식량 대용으로 먹기도 했습니다.
고구마는 봄에 싹을 틔워서 줄기를 보리를 베어낸 밭에 이렁을 만들어 심어 놓으면 비가 오고 해서 잘 자랍니다.
초여름철에 고구마 줄기를 가지치기를 해서 고구마줄기 껍질을 벗겨서 고구마김치를 담겨먹기도 합니다.
여름철에 새 고구마를 먹을 수 있고 본격적인 수확철은 가을입니다. 가을철에 고구마 줄기는 소먹이로 사용하는 등
남부 산간지방이나 섬지방의 밭이 많은 농민들에게 필수 식량이었습니다.
1. 고구마 효능
1) 고구마 효능 - 영양가 많음
고구마는 보리고개 시절에는 식량으로 대체하기도 할 정도로 영양가가 높습니다.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고 보라색과 오렌지색 고구마는 활성산소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항산화제가 풍부합니다.
2) 고구마 효능 - 다이어트 효과
고구마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줍니다.
식량 대신으로 먹을 때는 고구마 몇 개만 먹으면 한 끼 식사는 가능했습니다.
고구마는 혈당지수가 낮은 편으로 체내 흡수가 느려서 비만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3) 고구마 효능 - 면역력 효과
고구마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합니다, 베타카로틴은 체내에 흡수되면 비타민 A로 변환되어 면역력을 향상합니다.
4) 고구마 효능 - 당뇨 예방 효과
자색고구마는 항산화물질인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해 몸속 혈당을 낮추고 노폐물을 제거합니다.
고구마는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식품으로 혈당 조절에 좋습니다.
5) 고구마 효능 - 뇌 건강에 효과
고구마의 안토시아닌 성분은 외의 염증을 줄이고 손상된 뇌의 기능을 복구하는데 도움을 주고,
노화된 뇌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며 항산화 역할로 학습기능과 기억력 상승에 도움을 줍니다.
6) 고구마 효능 - 시력보호 효과
고구 마는 베타카로틴이 엄처 나게 풍부합니다. 구운 오렌지 고마한 겁(200g)은 하루 평균 성인들이 필요한
베타카로틴의 7배 이상이 있으며 베타카로틴은 몸 세서 비타민 A로 전환되고 눈 안에서 빛을 감지하는
수용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7) 고구마 효능 - 혈압조절 효과
고구마는 칼륨이 풍부한데 칼륨은 혈압이 감소하고 뇌졸중, 관상 동맥 등의 문제 발병 위험을 크게 감소시키며,
고구마에 있는 마그네슘은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8) 고구마 효능 - 소화 효과
고구 마는 섬유질이 풍부하여 소화에 도움을 주면 변의 양이 많아지면서 변비 예방에도 도움됩니다.
9) 고구마 효능 - 임신에 효과
고구마는 가임기 여성의 임신을 돕는 주요 미넬 라인 철동 풍부합니다
철분이 풍부하면 배란 불임의 위험기 감소한다고 합니다.
10) 고구마 효능 - 대장암, 심혈관질환 예방 항염 뼈 간강 등에 도움을 줍니다
2. 고구마 부작용
1) 신장결석이 있는 분은 충분히 물을 마시면 드세요
2) 위장이 약한 분은 고구마를 드실 때 물김치, 김치 같은 음식과 같이 드세요
3) 당뇨 환자는 고구마를 가능한 생고구마로 드세요, 군고구마 등은 당지수 증가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에 좋은 음식 나쁜 음식 (0) | 2022.02.05 |
---|---|
감자 효능과 부작용 정리 (0) | 2022.02.04 |
여주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2.03 |
녹차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2.02 |
콜라비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