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협심증 초기증상과 원인 예방법

by gooday365 2022. 4. 8.
반응형

협심증 초기증상과 원인 예방법

협심증 초기증상과 원인 예방법에 대하여 잘 알고 대처해야 귀중한 생명을 구하고 후유증을 최소화하여 정상 건강을 회복하여 건강하게 일상생활로 돌아올 수가 있습니다. 협심증 초기 증상은 심장으로 연결된 관상 동맥이 특정 원인에 의해 좁협지거나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되면서 가슴 통증을 비롯한 증상을 보이는 단순한 가슴통증으로 여겨 병원에 늦게 가서
중병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 협심증 초기증상과 원인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협심증 이란?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도맥: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하는,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spasm)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결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는 증상을 협심증이라
합니다.

 

2. 협심증 형태

 1) 안정형(만성)협심증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생기는 협심증

 2) 불안정형 협심증

   죽상경화 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급작스럽게 협착이 심해져서 생기는 협심증

 3) 변이형(이형성) 협심증

  죽상경화 병변이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혈관의 연축에 의해 혈류장애가 발생하어 초래되는 협심증

 

3. 협심증의 초기 증상

 

 1) 가슴 중앙이 갑갑함을 느낍니다.

  가슴의 흉통 및 불편함은 협증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속이 뜨겁다는 느낌, 흉부압박, 조이는 느낌, 무거운 무게 및 가슴에 엄청 무거운 물체가 앉아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통증은 왼쪽 및 오른쪽 또는 가슴 중앙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2) 잦은 현기증이 발생되는 경우

  현기증은 심장에 혈액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게 되는 현상으로 평소 현기증이 자주 나타나는 경우
 협심증 초기 증상일 경우가 있습니다

 3) 숨이 차는 현상

    숨이 차는 느낌이고 그리고 숨이 차는 현상을 심장까지 산소가 이어지게 되는 현상으로서 이 현상을 느끼는
경우입니다. 가슴 가운데에서부터 시작되어 압박감을 받을 수 있고 답답한 느낌이 들게 되고 호흡곤란 현사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4) 호흡곤란 증상

   가슴이 쥐어짜는 듯한 고통과 함께 숨이 잘 안 쉬어지는 호흡곤란 증세입니다.


 5) 실신, 심장마비 발생

  협심증은 일반적으로 망가지게 된 동맥이 신체의 여러 부분에 혈전을 만들고 심장으로 가는 혈액의 흐름을 막아서 발생되는데 순식간에 실신을 하거나 심장마비까지 발생되면 생명도 위험하게 됩니다.

6) 안정 협심증

 안정 협심증은 주로 과격한 운동을 하다 발생하며 2~3분가량 통증이 지속되다가 다시 안정화되며 통증이 완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과격한 운동을 할 때 심장에 공급이 되는 혈액이 더 많이 공급되어야 하지만 관상동맥의 안쪽 지름이
좁아지면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고 심장통증과 빈혈 등이 발생합니다.

 7) 소화기능 저하와 구토

   소화가 자연스럽게 되지 않고 얼고이 창백해지며 구토 증상과 속이 좋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8) 다양한 통증 발생

   목, 발, 어깨와 같은 곳에서 통증이 발생하는데 통증이 심해졌을 경우에는 땀이 흐르기도 하며, 가슴이 뛰는 듯한 느낌을 받을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 경우는 찬바람을 오랫동안 쐬거나 빨리 뛰기, 계단 오르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을 했을 때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9) 팔과 턱, 치아 통증

  심장의 통증인데, 마치 목이나 턱의 통증인 것처럼 뇌가 파악을 해버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연관통이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통증 때문에 실질적으로 턱이나 목이 아파서 병원을 찾는 협심증 환자가 많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10) 무거운 물건을 들 때 가슴이 찌르는듯한 통증

 

4. 협심증 원인
 
 고령, 고혈압, 가족력, 흡연, 비만, 운동부족 등으로  발생원인이입니다.

 



5. 협심증 예방법

  협심증 원인이 오지 않게 하는 방법이 최고의 방법입니다. 
  식습관으로 저지방식과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고 매일 40분 이상 걷기 운동 등을 하고, 금연하여야 합니다.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혈관질환 증상과 예방법  (0) 2022.04.12
협심증에 좋은 음식 10가지  (0) 2022.04.09
심근경색 초기증상 정리  (0) 2022.04.06
대장암에 좋은 음식과 안좋은 음식  (0) 2022.04.05
대장암 초기증상 10가지  (0) 2022.04.01

댓글